
적자에도 불구하고 임직원을 대상으로 과다한 성과급을 지급한 공기업들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조은희 의원(서초갑)이 24일 기획재정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이자비용)이 1 이하인 공기업 총 18곳에서 지급한 성과급 총액은 3천847억 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한국전력은 지난해 5조8천601억 영업적자를 냈음에도 임직원들에게 총 1천586억원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영업손실이 520억원인 강원랜드는 109억원 상당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서는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지역난방공사도 각각 772억원, 110억원의 성과급을 줬다.

대한석탄공사와 한국광해광업공단에서도 각 15.5억원, 24.3억원의 성과급이 지급됐으며 한국남동발전(229억원), 한국동서발전(226억원), 한국서부발전(210억원), 한국남부발전(180억)에서도 경영난 에도 수백억의 성과급이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18곳 중 기관장 성과급을 주지 않은 곳은 2곳뿐이었다.
윤석열 정부는 문재인 정부 당시 대폭 변화된 경영평과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공공기관의 방만과 부실 경영에 칼을 빼들었다.
이에 지난 20일,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1분기에만 8조원의 영업적자를 낸 한국전력과 9개 한전 자회사 및 작년 순손실을 기록한 11개 공기업 임원들에게 성과급 반납을 권고했고 기재부는 7월 중에 부채 과다 등 재무 위험이 큰 공공기관 10여 곳을 선정해 관리하는 ‘재무위험기관 집중관리제도’를 실시키로 했다. 경영 전반에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공공기관 혁신방안’을 주제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공공기관 호화청사를 과감히 매각하고, 고연봉 임원은 자진해서 과도한 복지 혜택 등을 반납해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 상 · 만 <취재기자>